삼성전자가 레드햇 인증을 받은 업계 최초의 CXL 인프라를 구축하여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CXL은 CPU, GPU 등을 메모리와 한 번에 연결해 속도와 용량을 높이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로, CXL 시장은 2022년 170만 달러에서 2026년 21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CLX D램 시장 규모는 15억 달러로 전체 CXL 시장에서 7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CXL 관련주 대장주 6 종목 분석
한미반도체
- 한미반도체는 AI 반도체 기술 중 하나인 컴퓨터 익스프레스 링크(CXL)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CXL 기반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용 장비인 '엑스칼리버'를 개발했습니다.
- 한미반도체는 SK하이닉스와 CXL 기반의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인텔과는 CXL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제조용 장비를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심텍
- 심텍은 시스템 IC 기판 생산능력을 2배 확대 중이며, 이는 시스템 IC 용 기판 사업 육성을 위한 것으로 청주 9 공장 생산능력 확대에 총 12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 심텍은 SSD, 서버 데이터 버퍼 칩, CXL 컨트롤러 등을 공략할 계획이며, 스마트워치, 이어 셋 등 웨어러블 시장에서는 SiP 기판으로 점유율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태성
- 태성은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전문 기업으로, 반도체용 PCB와 CXL용 PCB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태성은 CXL용 PCB를 개발하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와이씨
- 와이씨는 국내 유일의 고속 메모리 테스터 장비 제조업체로 반도체용 웨이퍼 테스터를 주요 제품으로 하며 D램 및 3D-낸드에 적용되는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셀 단위로 전수 검사합니다.
- 와이씨는 CXL과 관련해 AI 반도체 기술 발전과 함께 주목받는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고효율 낸드 웨이퍼 테스터를 공동 개발을 완료해 본격 양산 진행 중입니다.
네오셈
- 네오셈은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기업으로 SSD, D램, CXL 등 차세대 반도체에 대한 검사 장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네오셈은 세계 최초로 CXL D램 검사 장비를 개발해 시장 선점 효과를 노리고 있으며, SSD 검사 장비와 메모리 반도체의 성능과 품질을 검사하는 장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티엘비
- 티엘비는 메모리 반도체 모듈 PCB 전문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CXL 개발에 참여하여, CXL을 포함한 차세대 메모리 모듈 PCB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CLX D램 PCB 모듈 개발을 완료하고 샘플 제품을 공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