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는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GTC 2025' 콘퍼런스를 개최하며, 다양한 AI 혁신 기술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차세대 GPU 시리즈 '루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성능이 향상된 '블랙웰 울트라'와 HBM3E 및 HBM4 메모리 탑재 계획도 발표될 가능성이 큽니다. 엔비디아는 초기 블랙웰 GPU 과열 문제와 미국 수출 통제 등의 이슈로 주가가 하락했지만, 이번 행사를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합니다.
엔비디아 관련주 10 종목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메모리 공급업체로서, HBM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최근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 울트라'에 SK하이닉스의 BM3E 12단 제품을 단독 공급하였으며, 올해 3분기 공개 예정인 '루빈'에도 6세대 HBM4를 탑재할 계획입니다.
와이씨
- 와이씨는 반도체 검사 장비 제조사로, HBM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HBM을 납품하게 되면 와이씨가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수요 증가로 HBM 생산이 확대되면서, 와이씨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MDS테크
- MDS테크는 엔비디아의 공식 AI 설루션 공급 파트너사로, 엔비디아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최근 4년간 엔비디아 관련 매출이 300% 성장하고 있으며, AI 서버 수요 급증에 따라 이러한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저스템
- 저스템은 반도체 장비 제조사로,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이 삼성전자의 HBM 기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후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삼성전자의 HBM 개발 성공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이는 저스템과 같은 관련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가 추가 투자를 단행했으며, 이는 엔비디아의 로봇 산업 진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 엔비디아는 최근 로봇 산업에 본격 진출하였으며, 14개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클로봇
- 클로봇은 AI 로봇 설루션 기업으로, 엔비디아의 로봇 산업 본격화에 따라 협력사의 유통 설루션을 공급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의 로봇 기술 공개와 함께 클로봇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고영
- 고영은 로봇 및 자동화 설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기술 발전과 시장 동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에스비비테크
- 에스비비테크는 감속기 및 로봇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엔비디아의 기술 발전과 시장 동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에스오토메이션
- 알에스오토메이션은 로봇 및 자동화 설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정전용량식 엔코더 기술에 대한 2건의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 이 기술은 로봇 구동 모듈의 핵심 부품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정밀한 움직임 제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삼현
- 삼현은 모터, 제어기, 감속기를 통합한 3-IN-1 모션 컨트롤 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구동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자율주행 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