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은 GLP-1 계약을 활용한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GLP-1이 인슐린 분비 촉진과 소화 과정 지연으로 식욕 억제 및 제우 조절에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세마글루타이드 기반의 경구용 제제를 개발 중인 노보 노디스크와 GLP-1 수용체를 이용한 비만약을 연구하는 미국 일라이 릴리 등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대웅제약, 디앤디파마텍, 일동제약 등이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 관련주 10 종목 분석
나이벡
- 나이벡은 펩타이드 기반 골다공증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펩타이드 융합 기반 항암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2021년 펩타이드 기반 비만치료제 'NIB-MD-06'의 호주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습니다.
인벤티지랩
- 인벤티지랩은 약물전달시스템(DDS)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대웅제약과 함께 개발한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 'DW-Slim21'의 임상 3상을 완료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습니다.
펩트론
- 펩트론은 약효지속성 의약품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으로, GLP-1 계열의 비만치료제 'PT320'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PT320은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체중 감소 효과도 뛰어나며, 파킨슨병 치료제로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디앤디파마텍
- 디앤디파마텍은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과 협력하여 GLP-1 계열의 비만치료제 및 대사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이며, 미국 메드테라퓨틱스에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4개를 기술이전 했습니다.
바이오플러스
- 바이오플러스는 히알루론산(HA)을 기반으로 하는 필러 및 유착방지제 등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HA 기반 비만치료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휴메딕스
- 휴메딕스는 히알루론산 기반의 관절염 치료제 및 필러 등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2023년 6월 HLB제약과 함께 개발한 비만치료용 장기지속형 주사제 'HUM-SCM-202'의 임상 1상을 완료했습니다.
휴온스글로벌
- 휴온스글로벌은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자회사인 휴온스랩을 통해 GLP-1 계열의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
- 시너지이노베이션은 미생물 배양배지 및 의료기기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2022년 11월 뉴로바이오젠으로부터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KDS2010'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올릭스
- 올릭스는 비대칭 siRN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RNA 간섭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2021년 10월 프랑스 떼아 오픈 이노베이션과 함께 비만치료제 'OLX702A'의 유럽 임상 1상을 진행했습니다.
대웅제약
- 대웅제약은 국내 제약사 중 가장 많은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당뇨병 치료제 'DWP16001'을 비만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하기 위한 임상 3상을 승인받았습니다.